내 땅 밑으로는 절대로 지하철이 갈 수 없다. 내 땅은 종로에서 지구 반대편인 미국까지니까"라는 구호를 외쳤던 사람이었지요. 날이 새면 지하쳘 공사 현장에 멍석을 깔아놓고 "지하철 공사 절대반대"를 외치면서 "토지 소유권은 토지의 상하(上下)에 미치거늘 내가 싫다고 하는데 왜 내 땅 밑을 파내느냐"는 취지였지요. 김00씨가 요즘도 그렇게 고집이 센지는 알 수 없으나 공사현장에 고집을 부리는 사람들은 언제나 있어 왔고 앞으로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까지 그 소유권이 미치는지는 정설도 없고 정답도 없습니다. 과연 어느 정도까지 소유권이 미칠까요? 아니고 공공의 복리와 조화를 이루는 범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김00씨의 주장은 권리남용이라 볼 것이고, 어느 정도 개인의 이익도 참작해야 하겠지만 공공의 이익도 조화가 되어야 할 문제라고 봐야 하겠지요. 공공성을 따져서 법원이 정해주는 대로 따를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궁극적으로는 특별법이 제정되어야 한다는 필요성도 느끼고 있습니다.
그러하지 아니하다.
저수지, 구거 또는 지하실 공사에는 경계로부터 그 깊이의 반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소유권의 대상이 된다.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 등록으로서 특정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그 토지의 소유권의 범위는 지적공부상의 경계에 의하여 확정하여야 한다. -다음부동산-
|
![](https://t1.daumcdn.net/cafefile/pds45/13_cafe_2007_09_10_01_39_46e421ca939ce&.gif)
![](https://t1.daumcdn.net/cafefile/pds45/13_cafe_2007_09_10_01_39_46e421ca939ce&.gif)
'코칭스킬 > 경.공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주유소 함부로 경매낙찰 받으면 큰일나는 이유 (0) | 2017.12.23 |
---|---|
[스크랩] 색다른 부부관계 (0) | 2017.12.23 |
[스크랩] 상가 보증금 지키려면 사업자등록, 확정일자 ‘필수 (0) | 2017.07.03 |
[스크랩] 중개보조원의 명함 또는 명칭 사용 주의 (0) | 2017.06.01 |
[스크랩] 내 땅의 땅속(지하) 권리는 어디까지인가? (0) | 2017.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