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칭스킬/기타 낙서장

[스크랩] 인조반정군은 통과,1.21무장공비는 퇴치한 역사의 현장 창의문(자하문)

대한유성 2010. 10. 27. 21:35

 

 

 

창의문은 도성 4소문의 하나로 경복궁의 주산인 북악의 서쪽 날개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다.

태조 5년(1396) 서울성곽과 4대문 4소문이 건설될 때 함께 건립되었다.

창의문(彰義門)은 '올바른 것을 드러나게 하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고 한다.

 

능양군은 이 창의문으로 쿠데타군을 이끌고 입성하여 인조반정을 성공시켰다.

반면 '청와대를 까러 왔다'던 1.21사태의 북한 무장공비들은 이 창의문에서 경찰의 불심검문을 받고

총격전을 벌인 끝에 생포당한 1명을 제외하고는 사살되었으니

창의문의 이름이 허명은 아닌것 같다.

 

 

창의문

 

 

창의문은 건립된지 18년 만에 한때 폐쇄되기도 하였다.

태종 13년(1413) 풍수학생(風水學生) 최양선(崔揚善)이 백악산 동령(東嶺)과 서령(西嶺)은 경복궁의 양팔에 해당되므로

여기에 문을 내어서는 아니 된다 하여 동령에 있는 숙청문과 서령에 있는 창의문을 막을 것을 청하였다.

조정에서는 이 의견을 받아들여 두 문을 폐쇄하고 길에 소나무를 심어 통행을 금지하였다.

원래 이 두 문은 높은 산중턱에 위치하여 길이 매우 험하고 문을 나서면 북한산이 앞을 가로 막으므로

숙청문에서는 동쪽으로 성북동 골짜기로 내려와 동소문 밖 경원가도로 나가는 길 이외에 다른 길이 없고,

창의문에서는 서쪽으로 세검정 골짜기로 빠져나와 홍제원의 경의가도로 나가는 길 이외에 다른 길은 없었다.

또한 경원가도와 경의가도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데에는 각기 동소문과 서소문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빠르고 편하므로

두 문을 폐쇄하여도 별반 지장이 없다고 여겼던 것이다.

 

 

 

 

그후 세종 28년(1446)에 창의문에 대한 출입통제가 완화되어 왕명을 받아 출입하는 외에는

항상 닫고 열지 않도록 하였으나, 중종반정이 일어난 1506년 9월 2일에 혜화문과 창의문을 닫으라는

명을 내린 것을 보면 항상 닫아 두지는 않았던 것 같다.

 

 

 

 

창의문을 속칭 자하문(紫霞門)이라 했는데 이는 창의문이 자핫골(지금의 청운동)에 있으므로 해서 생긴 속칭이다.

청운동 일대는 골이 깊으며 수석이 맑고 아름다워서 개성의 자하동과 같다고 하여 자핫골이라 하였다.
<이하 자료출처: 종로구청, 다음백과,두산백과,위키백과,현지안내판 등>


 

 

 

 

 

 

 

 

 

 

인조반정 공신의 이름이 적힌 편액

 

 

 

홍예천정의 닭그림

 

 

다락에는 나무로 만든 큰 닭을 걸어 놓았는데, 그 까닭은 문 밖의 지세(地勢)가 지네와 흡사하기 때문에

그 기세를 제압하기 위하여 지네와 상극인 닭의 모양을 만들어 걸어놓았다 한다.

 

 

 

 

 

 

 

 

 

 

 

 

◈인조반정

1623년(인조 1) 서인(西人)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파(大北派)를 몰아내고 능양군(綾陽君, 인조)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 

선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광해군은 당론()의 폐해를 통감하고 이를 초월하여 좋은 정치를

해보려고 애썼으나, 자신이 대북파의 도움을 받아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당론을 초월할 수 없었다. 

 

대북파의 무고로 친형 임해군과 이모제() 영창대군을 죽였으며, 또 계모인 인목대비()를 유폐하는

패륜을 자행하였다. 이와 같은 광해군의 실정()이 계속되어 기강이 문란해지자 서인 이귀()·김자점(

김류(瑬)·이괄() 등은 반정()을 모의, 1623년 3월 21일을 거사일로 정 하였다.

 

도중에 이이반(攽)의 누설로 탄로될 위기에 놓였으나 역모 고변을 가볍게 여긴 광해군의 실수 덕분에

예정대로 거사를 단행, 이서()는 장단()에서,이중로는 이천()에서 군사를 일으켜

홍제원()에서 김류의 군대와 합류하였다.

이 군대를 능양군(인조)이 친히 거느리고 이괄을 대장으로 하여 12일 밤에 창의문()으로 진군하여

훈련대장 이홍립()의 내응으로 반정군은 무난히 궁궐을 점령하였다. 

 

반정에 공을 세운 이귀·김류 등 33명은 3등으로 나누어 정사공신()의 호를 받고 권좌의 요직을 차지하였다.

그 공신들의 이름을 적은 편액이 창의문 문루에 걸려 있다.

 

그러나 이 논공행상()이 공평하지 못하다 해서 1년 후에 이괄의 난이 일어났다.

특히 광해군이 보여주었던 상당히 실용적이고 국익에 부합하는 중립 외교 노선을 내버리고 친명에 기울었던

인조와 서인들은 병자호란과 삼전도 치욕을 초래하는 역사적 오점을 남겼다.

 

 

◈1.21사태◈

1968년 1월 21일 북한 민족보위성 정찰국 소속124군부대의 무장게릴라 31명이 청와대를 습격하기 위하여

서울 세검정고개까지 침투하였던 사건이 1.21사태.

무장공비들은 세검정고개의 자하문을 통과하려다 비상근무 중이던 경찰의 불심검문을 받고 그들의 정체가 드러나자

검문경찰들에게 수류탄을 던지고 기관단총을 무차별 난사하는 한편,

그곳을 지나던 시내버스에도 수류탄을 던져 귀가하던 많은 시민들이 살상당하였다.

 

군 ·경은 즉시 비상경계태세를 확립하고 현장으로 출동, 28명을 사살하고 김신조() 1명을 생포하였다.

이 사건으로 많은 시민들이 인명피해를 입었으며, 그날 밤 현장에서 비상근무를 지휘하던 종로경찰서장

총경 최규식()이 무장공비의 총탄에 맞아 순직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정부는 북한의 비정규전에 대비하기 위한 향토예비군을 창설하였다. 

 

 

 

 

 

 부족하지만 글 제목 옆의 숫자를 눌러 주시면 큰 격려가 됩니다.^^*

 

출처 : 청솔객이 걷는 길
글쓴이 : 청솔객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