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신앙

심리상담 용어 정리

대한유성 2021. 4. 23. 06:24

심리상담 용어 정리

 

• 가족치료(family therapy):

가족간의 의사소통 형태와 심리적 상호관계를 조정함으로써 가족 내 개인의 문제를 치료하는 기법. 가족상담도 같은 뜻임. 가족상담은 한 가족 구성원에게 나타난 역기능적 행동이나 증상을 가족체계가 불균형을 이루는데서 오는 가족전체의 문제로 보고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이라는 체제에 관심을 둔다. 따라서 상담 중에 나타나는 가족 구성원의 관계성에 초점을 맞추어 가족의 체계를 변화시켜 가족 구성원들의 증상을 제거하거나 문제를 개선시키려 한다. 치료의 기본적 방법은 집단 면접이며 치료 단위는 증상을 나타내는 개인(IP: identified patient)이 아니라 가족이 된다. 가족상담은 순수체계이론과 심리역동적 체계이론 이외에 정신분석적 가족상담과 인지-행동적 가족상담 이론이 있다.

 

• 갈등(conflict):

둘 또는 그 이상의 상호 대항적인 충동․동기․욕구들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

 

• 감수성(sensitivity):

①자극의 수용에 관계되는 능력

②자극의 강도 및 변화에 대한 개인의 반응성

③타인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특성

 

• 감수성훈련(sensitivity training):

내담자 및 자신의 내면세계에 대한 감수성을 계발하기 위한 상담자 훈련과정이며, 특히 산업심리분야에서는 바람직한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기는 성인교육의 일종으로 활용되고 있다. 훈련기간 동안에는 참가자 자신들의 자유로운 정서표출이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 강박신경증(obsessive-compulsive neurosis):

비합리적이며 상동적이고 의식적인 행위를 수행하려는 집요하고도 흔히 원하지 않는 관념으로 특징지워지는 신경증

 

• 강박장애(obsession-compulsion disorders):

바라지도 않은 생각이나 충동이 계속하여 되풀이되는 현상으로서 논리나 이성에 의해서 제어할 수 없다. 이는 주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겨난다. 강박장애는 강박적 사고와 강박행위의 두 가지 속성이 있다. 발생 원인에 대해 프로이드는 항문기적 고착 현상으로 나타나는 방어기제로 보고 있으며, 아들러는 부모의 지나친 사랑이나 지배 때문에 자신감이 발달하지 못한 아동이 열등감을 없애기 위해 무의식적 강박증 행동을 통해 자신감을 얻으려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 강박적 사고(obsessive thinking):

계속해서 개인의 마음속에 개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떠오르는 원치 않는 생각으로 소원, 유혹, 충동, 생각, 의심, 명령, 금지 등이 집요하고 강하게 계속 의식되는 것을 말한다. 정상인의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으나 강박장애자들에게는 그 강도와 빈도가 너무 커서 오랜 기간 지속되어 개인의 행동을 지배한다.

 

• 강박행동(compulsion):

①의도하지 않으나 반복적으로 되풀이되는 비합리적 행동

②자기의 의지나 의식적 경향과 반대되는 행동.

 

• 게슈탈트 치료(Gestalt therapy):

‘여기와 현재’에 초점을 둔 ‘전체로서의 유기체’를 다루는 치료방법이다. 유기체․환경간의 통일에 대한 내담자의 자각이 문제가 되며, 상담자의 역할은 내담자로 하여금 성격기능의 조직화된 전체를 회복하도록 돕는 것이다.

 

• 경계선적 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s):

행동, 기분, 자아상이 극에서 극으로 크게 변하며 충동적이고 행동을 예측할 수 없는 증세를 말한다. 행동에 일관성이 없고 자제력이 부족하므로 감정이나 기분의 변화가 매우 심하다. 타인과 불안정한 관계를 유지하며 부적절하게 화를 내기도 한다.

 

• 고착(fixation):

정신분석에서 심리성적 발달의 초기 단계를 원만하게 거치지 못했거나 애착 대상을 바꾸지 못함으로써 특정 발달 단계와 대상에 얽매여 있는 상태.

 

• 공감(empathy):

상대방의 경험․감정․사고․신념 등을 상대방의 관점과 입장에서 듣고 이해하는 능력이다. 상담 장면에서는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이렇게 이해한 바를 내담자에게 전달해야한다. 공감의 소통은 판단․설교가 없는 인간적 이해․수용을 바탕으로 한다. 공감을 받는 내담자는 상담관계에서 자유롭게 자신을 드러내고 싶은 심정이 된다.

 

• 공격성(aggression):

분노나 적대감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용어로

①사물이나 사람에 대한 적대적 행동

②죽음의 본능 또는 이에 관련된 의식적 표상(Freud)

③타인을 지배하려는 의지의 표현(Adler)

④좌절에 대한 반응(frustration-aggression hypothesis)

⑤자신의 목적을 공격적으로 추구함

⑥타인을 공격․가해․무시하거나 의식적으로 심한 벌을 주거나 가학적인 행동을 하려는 욕구(Murrary)

 

• 공포반응(phobic reaction):

심한 긴장과 비합리적인 공포가 특징인 반은. 흔히 신경증적 반응의 하나로 분류된다.

 

• 공포증(phobia):

실제적인 위험이 없는 상황에서 비합리적으로 나타나는 심한 긴장과 불안

 

• 교육상담(educational counseling):

주로 학업상의 곤란, 진학문제, 학과선택의 문제 등을 다루는 상담활동

 

• 귀환반응(feedback):

자기 자신의 행동결과에 대한 자료를 제공해 주는 정보이다. 행동에 대한 보상이나 처벌도 귀환반응의 일종이다. 귀환반응은 반응자의 지각내용에 따라서 바르거나 틀릴 수 있다.

 

• 꿈의 분석(dream analysis):

개인의 정서적 문제의 근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꿈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 정신분석가가 사용하는 방법으로 꿈속에 내재된 무의식적 원망 및 동기의 속성이 명백해질 때까지 내담자에게 꿈의 내용에 대한 자유연상을 시키며, 또한 꿈의 상징내용을 해석하기도 한다.

 

• 내담자중심 치료, 인간중심의 치료(person centered therapy):

1940년대에는 로저스(Rogers)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상담자가 솔직성․일치성․긍정적 배려 그리고 비판적이 아닌 깊은 공감적 이해를 보임으로써 개인의 성장 잠재력을 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이 그 주된 가정이다. 즉 인간은 자신의 심리적 부적응 상태의 요인을 자각하는 능력과 부적응 상태에서 벗어나서 심리적 적응의 상태로 향하는 능력 및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 내면화(internalization):

타인의 태도, 행위의 수준, 의견들을 자신의 가치체계 속에 병합하는 것. 프로이드(Freud)는 초자아 또는 성격의 도덕적인 면은 부모의 태도를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고 믿는다.

 

• 내사(introjection):

①부모의 초자아를 흡수하는 과정

②자신의 특징이나 정신적 과정을 생명이 없는 대상에 투사하는 것.

 

• 다면인성 검사(Minnesota Multiphasic Inventory; MMP):

피검사자가 찬성 또는 불찬성을 나타내는 500여 개의 진술문항을 포함하는 성격검사. 반응형태에 따라 건강염려증․우울증․히스테리․반사회적 이상행동․남녀 성․편집증․정신분열증․조증․신경쇠약증․사회적 내향성․외향성에 대한 경향을 잴 수 있다.

 

• 다중성격(multiple personality):

한 사람의 성격 속에서 비교적 독립적인 두 개 이상의 성격 측면들이 독자적으로 나타나는 상태.

 

• 대면집단(encounter group):

다른 사람과의 관계 및 자기 자신의 심리적 과정을 탐색․경험하는 훈련집단이다. 이와 비슷한 집단으로 실험실 방법 집단(laboratory-method group), 훈련집단(T-group), 감수성 집단(sensitivity group) 등이 있다.

 

• 독서요법(bibliotherapy):

상담 및 심리치료의 보조 수단으로서 내담자의 자기이해․감정적 순화에 필요한 독서자료를 읽도록 하는 방법.

 

• 동기(motive):

①개인에게 향한 목표행동을 유발하고 유지시키는 개인 내의 긴장상태.

②개인이 자기의 행동에 부여하는 의식적․무의식적 이유.

③충동.

 

• 동일시(identification):

①어린이가 적당한 성인을 본보기로 하여 행동하려는 경향

②방어기제의 하나로서 자기를 어떤 다른 사람과 같게 생각하는 심리현상

 

• 둔화(desensitization):

이전에 심하게 불안을 경험한 상황에서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드는 심리치료의 방법으로 불안상황에서 단계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정서적 반응을 약화시키는 것. 단계적 둔화 참조.

 

• 라포(rapport):

①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의 따뜻하고 신뢰로운 관계.

②심리검사에 있어 검사자와 피검사자 사이의 안락하고 따뜻한 분위기. 상담의 ‘촉진적 관계’의 예비적 단계라고 볼 수 있다.

 

• 로르샤햐 검사(Rorschach test):

대칭적인 잉크 반점을 가진 10개의 카드를 자극으로 하여 얻은 반응을 토대로 피검사자의 성격을 평가하는 검사. 투사법에 속하는 성격검사.

 

• 망상(delusion):

사실의 제시나 논리에 의해 수정될 수 없는 잘못된 사고. 계속적이고 체계적인 망상은 정신병적 상태와 편집반응의 특징이다. 망상은 왜곡된 지각이나 대상 없이 지각하는 환각과 구별되는 것이다.

 

• 명료화(clarification):

비지시적 상담치료에서 내담자가 방금 이야기한 것의 의미를 요약하고 더 분명하게 해 주는 상담자의 진술을 말한다. 이 때 상담자는 내담자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된다.

 

• 모델링(modeling), 본뜨기:

내담자가 획득해야 할 바람직한 행동의 실제적․상징적 본보기를 제공함으로써 모방 및 관찰을 통해 소기의 행동을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

 

• 무감각(apathy):

①감정이나 흥분을 유발하게 마련인 상태에서 감정정서를 일으키지 못하는 것.

②매우 억압된 상태에서처럼 자신의 주위환경에 무관심한 것.

 

• 무의식(unconsciousness):

개인이 잊었고 기억해 낼 수 없는 기억과 생각. 정신분석에서는 꿈․자유연상 등을 통해서 무의식의 내용을 추적․해석한다.

 

• 무조건적 긍정적 배려(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내담자에 대한 배려․수용에 있어서 조건이 없다는 뜻이다. 즉 내담자를 선택적으로 평가하지 않으며 탐색․동의․반대․권위적 해석 등을 가능한 한 피한다. 이러한 상담자의 태도는 내담자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내담자의 자기이해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능력을 완전히 믿는데서 나올 수 있다.

 

•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①동기가 완전히 위장되어 원래 의도와는 완전히 반대 형태로 표현됨.

②원래의 무의식적(또는 억압된) 특질에 반대되는 성격의 행동.

 

• 반영(reflection):

비지시적 상담에서 내담자가 언급한 인지적․정서적 요점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내담자가 한 말을 상담자가 다시 진술하는 것을 말한다.

 

•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

자존심을 위협하거나 불안을 증가시키는 동기가 의식되지 않도록 특정 행동을 회피하거나 다른 행동을 보이는 적응양식이다. 주로 무의식적으로 나타나며, 부정․투사․억압․합리화가 그 예이다.

 

• 보강(reinforcement), 강화:

①고전적 조건형성에서 조건자극에 뒤따라 무조건 자극을 제시하는 실험적 절차.

②조작적 조건형성에서 조건반응에 유관하게 자극을 제시하는 결과

③일반적으로 어떤 행동이 계속되도록 격려․지지할 때 ‘보강(또는 강화)한다’고 말한다.

 

• 보상(compensation):

방어기제의 하나로 좌절된 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른 행동으로 대체시키는 것. 즉 사회적․심리적 좌절이나 성격 부분의 결함을 메꾸기 위해 대체행동에 참여하는 것.

 

• 본능(instinct):

①유기체가 어떤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하는 타고난 생물학적 힘.

②학습받지 않은 새들의 집 짓는 행동에서 보이는 것처럼 종 특유의 유형화된 목표지향적 행동.

 

• 부적응(maladjustment):

①환경에 적절히 반응하지 못하고 문제해결적인 행동양식이 결여된 상태

②정신신경증, 정신병 등에서 매우 불안하거나 또는 특이하게 행동하는 것.

 

• 분열적 성격(schizoid personality):

공격적 충동을 직접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내향적이고 폐쇄적인 사고를 하며 다른 사람과 괴리되어 있는 성격.

 

• 불안(anxiety):

①특정한 원인이 없이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근심걱정이 있는 상태.

②경미한 정도의 만성적 공포하고 볼 수 있으나 일반적인 공포보다 그 대상이 구체적이지 않다.

③습득된 회피반응을 포함하는 2차적 충동.

 

• 불안반응(anxiety reaction):

강한 불안감정을 특징으로 하는 복잡한 반응형태로서, 심장의 두근거림․숨막힘․가슴이 답답함․현기증 등의 신체적 증상을 동반한다.

 

• 불안위계(anxiety hierarchy), 불안위계목록:

단계적 둔화를 위해 작성되는 것으로서 내담자에게 가장 불안을 많이 야기시키는 상황에서 가장 적게 일으키는 상황에 이르기까지의 목록이다.

 

• 비지시적 치료(non-directive therapy):

내담자가 주도권을 가지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심리치료이다. 상담자는 최소한 의 지시를 하며 따뜻하고 수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솔직하게 토의할수 있도록 한다. 심문식의 질문 또는 해석을 하지 않고 주로 내담자의 표현을 반영해 주고 명료화시킨다.

 

• 사례연구(case study):

한 사람의 개별적인 특성을 밝히기 위한 심리학적 방법으로 개인에 대한 복합적인 자료들이 장기간에 걸쳐 수집․분석된다. 개별 기술적(idiographic) 성격 연구에서뿐만 아니라 임상․상담심리학에서 실제적․진단적인 목적을 위해서 흔히 쓰이는 방법이다.

 

• 상담(counseling):

조언․명료화․해석 및 전문적인 교육방법을 통해 인지․정서․행동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내담자의 문제해결과 성장을 도와주는 여러 가지 과정 및 활동을 뜻함.

 

• 상호억제(reciprocal inhibition):

①행동수정의 일종으로 제거될 반응(불안)과 양립할 수 없는 반응(이완)들을 함께 제시하는 고전적 조건형성이다.

②상호방해 때문에 두 가지 연상 중 한 가지를 기억할 수 없음.

③길항근의 수축과 동시에 일어나는 근육의 이완.

 

• 성격 장애(personality disorder):

개인의 적응능력을 심하게 제한하는 행동 및 습관을 포함하는 경직된 성격유형. 때때로 당사자는 자신의 행동을 부적응으로 보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성적 부적응(sexual maladjustment):

성에 대한 사회의 도덕과 관습에 어긋나는 일체의 행동을 말한다. 성적인 비행이나 지나친 자위행위나 노출벽과 같은 성적으로 나쁜 습관, 사디즘이나 마조히즘적 등 평균적인 것에서 완전히 벗어난 성행동, 그리고 성적도착에 이르기까지 성에 관한 이상행동을 총괄해서 성적 부적응이라 한다. 성적 부적응은 직접적이고 폭력적인 형태가 많고, 사춘기에 성에 대한 강한 관심이나 흥미, 친구의 유혹, 신체의 발달가속현상, 사회적인 성적 해방감 등 제반 요인이 복합해서 생기게 되는 일시적인 부적응이 있을 수 있다.

 

• 성적 일탈(sexual deviation):

사물이나 정상적이 아닌 행동으로부터 성적인 흥분과 만족을 얻거나, 특정 사회의 표준적인 성행동에서 현저하게 이탈된 성적 행동의 형태. 예를 들면 동성애․피학대 음란증․강간․주물숭배(fetishism) 등이다.

 

• 성취도 검사(achievement test):

개인의 과업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로서 현재의 특정 훈련결과나 지시를 측정한다. 한 가지 검사만으로 여러 가지 복잡한 성취결과를 측정하기는 불가능하므로 교육․산업 장면에서는 보통 여러 개의 성취검사가 동시에 사용된다.

 

• 성취동기(achivement motive):

①성공 또는 원하는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노력하는 경향

②과제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몰입

③주어진 과제에 있어서의 성공에 대한 기대

④어려운 일을 빨리 그리고 잘 하려고 노력하거나 또는 장애를 극복하려는 동기.

 

• 소망성취(wish-fulfillment):

①정신분석이론에서 실제의 꿈(또는 현시적인 내용)은 성적 또는 공격적인 충동․원망이 위장된 것으로 추측함. 따라서 꿈은 소망 또는 충동의 상징적 충족이라고 본다.

②긴장으로부터 해방되기 위한 정신적 투쟁. 소망성취는 꿈․실언․신경증적 증상에서 가장 명백하게 나타난다고 프로이드는 해석함.

 

• 소외(alienation):

①고립된 느낌과 서먹서먹한 상태

②타인과의 따뜻한 우호적 관계의 결여

③진정한 자아로부터의 분리.

 

• 수동적-공격적 성격(passive-aggressive personality):

수동적인 공격성․고집․토라짐 또는 극단적 의존성의 형태로 적개심을 표현하는 성격.

 

• 수용(acceptance):

긍정적 태도로 내담자의 가치․행동에 대해서 중립적인 관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내담자를 평가하지 않으려는 태도이다. 그리고 내담자가 현재 그대로 느끼고 행동할 권리가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 승화(sublimation):

①원욕(libido)이 보다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방향으로 변경되는 무의식적 과정. 정신분석에서는 예술적 작품 활동을 승화의 표현으로 본다.

②광의로는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충동을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바꾸는 것을 뜻함.

 

• 신경쇠약(psychasthenia):

정신적 활동수준의 전반적인 저하. 환경에 적응하기가 어려워지고 현실 수용이 불가능해진다.

 

• 신경증(neurosis):

주로 불안이나 갈등에 잘 대처하지 못하는 부적응적 상태이다. 부적응의 정도는 정신병보다는 경미하여 심각한 성격의 혼란을 야기하지는 않는다.

 

• 신체상(body image):

자신의 외모가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보일까 하는 개인의 생각 또는 자기의 신체에 대한 일반적인 상념. 종종 신체의 기능이 어떠한가 하는 관념이 포함된다.

 

• 실존치료(existential therapy):

심리치료의 한 형태로서 상담자는 있는 그대로의 내담자를 받아들이며 내담자로 하여금 인생에서의 의미와 가치를 찾도록 돕는다. 어떤 한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창시된 것이 아니고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몇몇 유럽의 심리학자와 정신의학자들의 생각과 연구에 의해 자발적으로 발생되었다. 이들 학자들은 당대의 심리치료보다 더 신뢰롭고 근본적인 인간존재의 이해 방법을 찾는데 관심을 가졌다. 즉 실존치료는 구체적인 치료기법을 제시하기보다 인간의 본질, 불안, 절망, 슬픔, 고독, 고립 등의 본질을 다룬다. 이러한 인간경험을 이해하는 것을 통하여 인간을 도우려 했다. 즉 정신적 질병은 개인이 자신의 삶에 의미를 발견하지 못한데서 발생한다고 보고 내담자로 하여금 인생에서의 의미와 가치를 찾도록 돕는다

 

• 심리극(psychodrama):

모레노(Moreno)에 의해 발달된 진단적 치료기법으로 개인이 가장 갈등을 많이 겪는 타인과의 관계를 무대 또는 집단상담 장면에서 실연한다. 이때 치료자는 극을 처음부터 끝까지 주의깊에 관찰해서 극이 치료적인 면에서 보아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 반대로 악화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를 보아 때로는 극을 중지시켜 새로운 방향과 해석을 할 필요가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역할연기(role playing)와 자발성의 훈련 등이다. 정신과 의사나 임상․상담심리 전문가들의 지도하에 이루어진다.

 

• 심리치료(psychotherapy):

정신질환이나 심리적 적응문제의 해결을 위해 전문적인 심리학적 기법을 적응시키는 요법. 정신치료라고도 한다. 심리치료에는 심리적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설명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접근방법이 있다. 즉 치료접근방법에 따라 정신분석적, 행동주의적, 인간중심적 심리치료 등이 있다. 치료대상에 따라 개인심리치료, 집단심리치료가 있고, 치료도구에 따라 놀이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독서치료 등이 있다.

 

• 아동지도(child guidance):

어린이들과 부모에 대한 상담을 통해 어린이들의 비정상적 행동을 수정하거나 정신신체 장애의 진단과 치료까지도 포함한다.

 

• 암시(suggestion):

사고나 태도에 있어서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도록 영향을 주는 것. 심리치료에서는 신경증 증상의 일시적 회복을 위해 특히 히스테리 증상의 치료에 사용된다. 태도와 믿음을 바꾸거나 그대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광고 전문가가 활용되기도 한다.

 

• 애착(attachment):

특정 대상에 가까이 있으려 하고 그런 대상과 함께 있을 때 더 안전하다고 편안함을 느끼는 경향.

 

• 양가감정(ambivalence):

어떤 사물이나 개인에 대하여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을 동시에 가짐.

①한 사람의 마음 속에서 사랑과 미움 등 서로 상반되는 감정이나 태도가 존재함.

②두 가지 서로 상반되는 목표를 향해 동시에 충동되는 상태(Lewin)

③양가감정이 있으면 타인에 대한 감정적 태도를 신속하게 바꾸는 경향이 나타난다.

 

• 억압(repression):

①고통, 창피스러움, 불안을 일으키는 충동, 기억, 경험 등을 의식으로부터 강력하게 밀어내는 것.

②정신분석에 의하여 원초아로부터의 용납될 수 없는 충동을 현실원칙에 따라 적용하려는 자아와 초자아의 욕구에 의해서 억압된다.

③억압은 자세(suppression)나 억제(inhibition)와 구별되어야 하는데, 이것들은 자발적인 것인 반면 억압은 무의식적이며 비자발적이다.

 

• 억제(inhibition):

①정신적 방해 또는 행동상의 망설임.

②정신분석에서는 초자아의 규제로 본능적 충동에 대한 의식이 봉쇄된다고 본다.

 

• 역동심리학(dynamic psychology):

심층심리 또는 행동의 무의식적 원인이나 동기를 강조하는 심리학의 체계

 

• 역전이(counter-transference):

내담자의 태도 및 외현적 행동에 대한 상담자(또는 치료자) 개인의 정서적 반응. 흔히 상담․치료적인 과정에는 방해가 되는 상담자의 심리현상으로 간주된다. 카운슬러가 자신의 생활에서 부모나 그 밖의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에서 경험한 부정적 감정을 피상담자에게 투사하는 것이다. 내담자가 부모나 다른 사람들에 대하여 지녔던 부정적이거나 적대적인 감정과 사고를 카운슬러에게 투사하는 전이현상과 똑같은 전이현상을 카운슬러가 내담자에게 보일 수 있는데 이를 역전이라고 한다.

 

• 역 조건형성(counter-conditioning):

현재의 반응성향과 양립할 수 없는 새로운 반응을 강화시킴으로써 현재의 반응을 소거시키는 방법. 즉 이전에는 내담자에게 공포나 부적절한 반응을 일으키게 했던 장면에 그러한 반응보다 강한 새 바람직한 반응을 도입함으로써 현재의 부적절한 반응을 소거하는 것이다.

 

• 역할수행 연습(role playing):

심리치료나 지도가 훈련에서 내담자로 하여금 자발적인 역할행동을 함으로써 대인관계에서의 바람직한 태도나 행동을 습득하도록 지도하는 방법.

 

• 연합(association):

학습을 통하여 형성되는 연결관계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

①학습이나 경험을 확립된 둘 이상의 심리적 현상간의 기능적 관계나 연결

②관념간의 유대나 연결

 

• 열등복합(inferiority complex):

①아들러(Adler)가 강조한 개념으로 우월성을 향한 투쟁에서 좌절을 겪음으로써 생겨난 중심적 태도.

②무의미․무력․미완감․삶을 영위하는 능력이 없다는 등의 불안정한 느낌.

 

• 예후(prognosis):

질병이나 정신질환의 결과 및 치료 전망에 대한 예언.

 

• 완전주의(perfectionism):

자신에 대하여 비상하게 높은 수준의 성취를 요구하고 모든 것을 철저하게 처리 하고자 하거나 또는 사소한 실수에 강박적으로 걱정하는 경향.

 

• 외디푸스 복합(Oedipus Complex):

정신분석적 성격이론에서 가정하는 무의식적 증상으로서 어머니에 대한 남자 어린이의 억압된 성적 욕만 및 심리적 유대감을 가리킨다. 여자 어린이가 아버지에 대한 심리적 유대감을 가지면서 어머니에게는 적개심을 가지는 경우는 엘렉트라 복합(Electra Complex)라 한다.

 

• 요구(need):

유기체의 건강과 복지를 위해 필요한 것들. 인간의 경우 신체적 요구(음식, 물, 공기 등)와 심리적 요구(자존심, 쾌락, 성장 등)의 두 가지가 있다.

 

• 원욕(libido):

①행동을 유도하는 본능적인 추동 또는 에너지

②성본능

③성적 욕망 또는 성적 쾌감

④정신분석에서 말하는 삶의 본능(eros)과 죽음의 본능(thanatos)의 결합상태

 

• 원초아(id):

정신분석이론의 성격구조의 한 부분으로 원욕이 위치하는 곳이다. 이 정신세계는 쾌락 원칙에 의해 지배되고 동기의 즉각적인 만족을 꾀하며 현실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는다.

 

• 원형(archetype):

옛날부터 전해 내려온 관념과 소인등으로 구성된 종족적 무의식의 내용(Jung)

 

• 위기상담(crisis counseling):

삶의 주요 목표의 좌절과 위급한 역경을 극복하는 상담방법으로 위기상황에 대한 내담자의 대처능력을 돕는 상담. 위기의 성질에 상관없이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우선 자신감과 내적인 안정을 유지하도록 한다.

 

• 유희요업(play therapy), 놀이치료:

①어린이의 성격연구와 행동문제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서 어린이가 놀이하는 가운데 자신의 갈등을 표현하도록 한다.

②내면적인 부적응을 일으키게 하는 감정과 정서를 표현할 수 있도록 놀이를 심리적 정화의 도구로 이용하는 것.

③유희요업은 어린이의 적응문제를 진단하는 기법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음악치료(music therapy):

내담자에게 음악을 듣게 하거나 적절한 연주행동을 통하여 치료적 효과를 보게 하는 특수한 심리치료법. 그 효과는 내담자의 기분뿐만 아니라 신체적 기능에까지도 작용한다.

 

• 의미치료(logotherapy):

의지력에 의한 환경극복과 인생에 대한 의미를 자각하도록 하는 것으로 정신, 자유, 책임감을 강조한다. 프랭클(Frankl)이 자신의 유태인 수용소 생활경험을 토대로 발전시킨 치료법이다. 의미치료란 삶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도록 목표와 책임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에 주된 목적을 두며, 인간실존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를 다루는 치료기법이다. 정신건강과 개인적 성장의 선결조건으로 삶의 가치, 의미, 목적을 중시하며, 의미에의 의지를 최대로 신장시켜 자기의 인생에 긍정적이고 가치있는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 의식(consciousness):

개인이 어떤 순간에 자각하고 있는 생각.

 

• 이상적 자아(ideal self):

개인이 가장 높은 가치를 두며 가장 가지고 싶어하는 자아개념(Rogers)

 

• 이완요법(relaxation therapy):

①정신적 긴장과 육체적 피곤을 감소시키기 위한 심리치료 기법. 최면 또는 암시적 기법과 자기훈련 등을 활용한다.

②주로 근육이완을 위한 신체치료법의 하나로 근육이완훈련이라고도 한다.

 

• 인본주의 심리학(humanistic psychology):

인간의 잠재력와 독특성을 강조하는 심리학적 접근방법. 주관적 경험과 인간의 가치를 존중한다. 인간을 목적적인 존재로 보기 때문에 개인의 이념, 목적, 가치 및 자유의지가 인간행동을 결정한다고 본다. 정신분석과 행동주의에 이어 심리학의 제3세력을 형성한다.

 

• 인지적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①개인이 양립할 수 없는 두 개의 신념이나 인지를 경험할 때 느끼는 불편한 심리상태

②동시에 일어난 인지들 사이에 또는 인지와 행동 사이의 불일치에 의해 일어나는 동기적 상태.

 

• 인지․행동적 치료(cognitive behavior therapy):

일반적으로 조건화 이론에 근거한 행동수정과 인지적 접근을 하는 인지 치료를 통합한 치료법으로 인간의 행동과 그에 따른 인지적 변화를 강조한다. 인지․행동적치료는 행동의 변화가 인지 변화를 가져 올 수 있고, 인지 변화는 행동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하다. 치료기법에는 인지적 재구성, 자기통제, 자기교시법, 이완법 등이 있다.

 

• 일치성(congruence):

①자아의 일부가 되도록 경험을 의식적으로 통합하는 것.

②상담자가 자신의 내부의 경험을 알아차리고 상담관계에서 자신의 내면적 경험을 명백하게 할 수 있는 기본능력. 상담자의 내면적 경험이 태도와 행동에 나타나려면 상담자의 말과 행동이 자신의 경험과 일치해야 하며 내면적 감정의 변화에 민감해야 하고, 자신을 투명하게 드러낼 수 있으며 있는 그대로의 자기 자신이어야 한다.(Rogers)

 

• 자기(self):

①자신의 고유한 성격에 대한 자각 또는 지각

②의식적인 존재로서의 개인

③자신의 정체․계속성․노력․자기상(self-image) 등에 대한 개인의 의식.

 

• 자기강화(self-reinforcement):

자기강화는 자기관리의 마지막 단계이다. 그러나 이 단계가 자기관리에 실질적으로 필요한지는 다소의 이견이 있다. 그 이유는 목표설정과 모니터링 진전만으로도 충분하며 자기강화는 그 효과에 아무런 도움이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기강화는 개인의 성공적인 수행이라는 평가결과에 따라서 주어지는 보상이 개인의 수행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가능성 높은 전략이다.

 

• 자기개념(self-concept), 자아개념: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자신을 환경과 분리하여 소유할 줄 알게 된다. 이런 인식과 기능이 발달함에 따라 환경적 경험으로부터 자아에 대한 인식이 생기게 되는데 이것이 자아개념의 발달이다. 자아개념의 발달은 유기체가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지가하느냐에 따라 많이 좌우된다.

 

• 자기노출(self­disclosure):

자기 자신의 신상에 관한 기술이나 감정 혹은 생각을 남에게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이다. 상담이나 심리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시기에 상담자가 자신의 신상이나 경험, 생각, 감정을 말함으로써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 상황을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거나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하는 시도를 가리킨다.

 

• 자기도취(narcissism):

자기 자신의 신체적 속성이나 행위를 부적절하게 과도한 가치를 부여하는 특성을 말한다. 정신분석에서는 자아가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을 사랑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으며 이런 자애적인 사랑은 생의 전반을 통해 어느 정도 유지되는 것으로 극단적인 경우에는 정신분열 증세로 발전하기도 한다고 한다.

 

• 자기분석(self-analysis):

①자기 자신에 대한 정신분석의 실시. ②일반적 의미로는 개인이 자신의 동기․정서․잠재력의 한계에 관해 이해하려는 시도.

 

• 자기상(self image):

개인이 자신에게 바라는 생각의 내용 또는 현재의 자기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평가내용.

 

• 자기수용(self-acceptance):

자신의 특질 및 기호 등에 대해 본질적으로 만족하고 자신의 한계를 깨닫는 것.

 

• 자기실현(self-actualization), 자아실현:

①유기체가 자신을 유지시키고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자신의 능력을 발달시키려는 타고난 경향(Rogers)

②인간의 욕구 계열에서 가장 고차원적 것(Maslow)

 

• 자기중심성(ego-centricism):

개인이 자신의 욕구와 관심에 지배되어 생각하거나 행동함으로써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향.

 

• 자기통제(self-control):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 능력. 충동적인 행동이나 감정을 억압하거나 자제하는 능력

 

• 자기표현훈련(assertive training), 자기주장훈련:

일반적으로 직접적인 대인관계 장면에서 유발된 불안을 해소하는 데 사용된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공포와 불안이 근거 없다는 것과 공포가 그를 어떻게 무능력하게 만들었는지를 지적․설명해 주며, 자기 주장이 처음에는 어렵지만 점점 쉬워짐을 자각시켜 줌으로써 내담자가 억제된 의사와 감정을 표현하도록 훈련한다. 일단 자기 자신을 표현하기 시작하면 좀더 어려운 상황에서도 주체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한다.

 

• 자아(ego), 자기:

특히 개인이 갖는 자기 자신에 대한 개념. 정신분석에서는 원초아로부터 발전된 의식기능으로 본다. 즉 자기와 현실 사이를 구별하는 것을 학습하고 원초아의 욕구와 비판적이고 도덕적인 면을 추구하는 초자아 사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 자아기능(ego function):

자아가 현실에 대한 적응․조작하는 활동으로서 지각․사고․현실검증․판단능력 등이 포함된다.

 

•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①정신분석적 심리치료에서 사용하는 기법으로서 환자가 마음에 떠오르는 것은 아무리 부적절하고 부끄러운 것이라도 모두 이야기하도록 한다.

②피험자 반응의 속성에 제한을 가하지 않고 주어진 단어(또는 주제)에 대한 자유로운 생각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

 

• 자의식(self-consciousness):

개인이 자신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반응에 관심을 가질 때 나타나는 자각상태

①자신의 행동에 대한 과민성 ②자신의 심리적 과정에 대한 의식

③독특한 개인으로서의 자신의 존재의식

 

• 자존심(self-esteem):

자신을 받아들이고 적어도 어느 면에서는 가기가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느끼며, 자신을 존중할 수 있는 것. 자아긍정과 비슷한 의미이다.

 

• 자폐증(autism):

①개인적인 욕구나 환상에 의해서 지배되는 폐쇄적인 사고

②주로 비현실적 소망으로 세계를 지각하는 증상 ③자신의 사고와 공상에 극단적으로 지배되는 증상

 

• 재활(rehabilitation):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무능력을 예방․제거․감소시키며, 자신의 생활목적과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도록 신체적․정신적 능력을 회복․증진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 저항(resistance):

①상담관계에서 나타나는 내담자의 방어는 상담자에게는 저항이 된다. 즉 저항은 무의식적인 자료가 인식되는 것을 피하려고 하는 내담자의 시도이다.

②과거에 있었던 중요한 사건을 기억하지 못 한다던가 불안을 일으키는 주제에 대해 말하지 못하는 것. 자유연상 때 말이 막히는 것 등으로 저항을 알 수 있다.

 

• 적응(adjustment):

①장애를 극복하고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유기체의 활동과정 및 변화

②신체적․사회적 환경과 조화있는 관계를 수립하는 것. 이 정의는 기술이나 학습을 강조하지 않고 사회적 순응․동조의 의미를 강조한 것이다.

 

• 전위(displacement), 치환:

①정서적 표적을 원래의 대상으로부터 대리적 대상으로 옮기는 것.

②방어기제의 하나로서 직접 표현될 수 없는 동기를 더 받아들이기 쉬운 형태로 바꾸어 나타내는 것.

 

• 전의식(preconsiciousness):

평상시에는 자각하지 못하지만 어떤 순간에 쉽게 자각될 수 있는 의식. 의식과 무의식의 중간 지대로 본다.

 

• 전이(transference):

①내담자가 이전의 대인관계 중 중요했던 사람에게 가졌던 감정을 상담자에게 무의식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주로 부모와 아동간의 정서적 관계를 재현하게 된다.

②정신분석에서는 상담자가 전이의 대상이 되며, 전이감정은 내담자로 하여금 중요한 타인에 대해서 가졌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분석에 도움이 된다.

③일반적으로 한 대상에서 다른 대상으로의 감정전위를 뜻함.

 

• 전이신경증(transference neurosis):

내담자가 부모대신 치료자에게 심리적 애착을 느끼는 것처럼 주로 대체적인 심리기제에 의해 본능적 요구의 만족을 얻는 신경증(정신분석)

 

• 전환신경증(conversion hysteria):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하는 복잡한 신경증으로 흔히 정석적 불안정․억압․해리․피암시성 등이 장애증상으로 나타난다.

 

• 접근-접근갈등(approach-approach conflict):

①양립될 수 없는 두 가지 다른 목표에 동시에 접근하도록 유인되는 갈등상태.

②똑같은 매력을 지니나 상호불용적 목표들 사이에 개인이 놓인 상황.

 

• 정서(emotion):

내장기관의 생리적 변화를 수반하는 반복적 반응이며 강한 느낌이나 감정의 상태를 포함한다.

 

• 정서장애(affective disorder):

정서의 혼란을 가진 정신병으로서 조증․우울증․조울증 등이 여기에 속한다. 학자에 따라 그 정의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자신과 자신이 속한 환경에 대한 정서가 상규를 벗어난 상태를 말한다. 정서 상태는 그 사람의 행동을 추론하여 확인된다. 일반적으로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를 입히는 방식으로 행동하면 정서 장애를 겪고 있다고 본다. 정서 장애자는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행동을 하지 못하고, 지적, 신체적 발달 수준에 걸맞는 학습을 하지 못하며, 적절한 사회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 정신병(psychosis):

사고과정의 와해, 정서혼란, 시간․장소․사람에 대한 방향감각의 상실, 때로는 망상과 환상의 특징을 지닌 심한 정신질환.

 

• 정신분석(psychoanalysis):

프로이드에 의해 발달된 심리치료의 한 방법이며 성격의 구조와 발달에 대한 이론이기도 하다. 또한 무의식적인 동기와 갈등을 파헤쳐 인간행동의 근원을 찾으려는 심리학의 역동적인 체계이다. 치료로서의 정신분석은 억압을 제거하고 무의식적 동기를 의식화시키는 전문적인 작업이며 자유연상과 꿈의 분석, 전이현상을 활용한다.

 

•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성격기능의 여러 국면 중 특히 정서와 행동간에 조화를 잃거나 분리되어 있는 기능적 정신질환. 증상으로는 주로 자폐증․환각․망상이 나타난다. 정신분열증은 조직상실(disorganized), 긴장성(catatonic), 편집성(paranoid) 정신분열증의 하위유목으로 나뉜다. 조직상실성 정신분열증은 얼굴을 찌푸리거나 광란의 몸짓을 수반하는 환각과 망상 등 좀 더 괴이한 증후를 나타내는 장애이다. 긴장성 정신분열증의 주된 특징은 운동활동의 심각한 장애이다. 부동의 자세를 취하고 있거나 함구증 및 무감각의 특징을 보여주기도 하고 또는 그 반대로 극단적으로 흥분해서 계속적으로 말하거나 소리치기도 한다. 편집성 정신분열증은 극단적인 의심과 망상 또는 환각이 그 특징이다. 자신이 너무 위대하거나 또는 남의 비밀을 알고 있어서 박해받고 있다고 믿기도 한다.

 

• 정신연령(mental age):

발달수준이 정상적이라고 판단되는 생활연령의 단위로, 정신적인 발달이 표현되는 수준.

 

• 정신위생(mental hygiene):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또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적합한 지식 및 연구활동. 환자로 하여금 정신장애를 극복하도록 돕거나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 정화(catharsis):

직접적․간접적인 표현을 통해 충동 및 고조된 정서상태를 감소시키는 것. 보통 언어적 토로나 환상적인 표현을 사용한다.

 

• 조건형성(conditioning):

조건반응(자극과 또 다른 자극․반응의 연합)이 학습되는 과정으로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이 있다.

 

• 조울증(manic-depressive psychosis):

정서 및 기분의 주기적 변화가 특징인 심한 정신질환. 조증상태에서는 과대흥분․고조된 기분․지나친 운동․사고의 도약 등이 나타나고, 우울상태에서는 우울․소극성․둔감성․사고의 부진․불안․슬픔․자살충동 등이 나타난다.

 

•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

특정 행동의 결과를 체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이 행동의 발생 빈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는 현상. 상담과정에서 내담자가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그 행동에 대해 상담자가 관심이나 찬성을 표현하면 그런 행동유형을 계속하게 된다.

 

• 좌절(frustration):

목표지향적 행동에 대한 방해나 그 결과로 생긴 긴장되고 불안한 상태.

 

• 주제통각 검사(T.A.T):

개인의 내면적 요구-압력관계를 비롯한 여러 가지 심리적 역동관계를 분석․진단․해석하는 검사. 여러 그림을 보고 떠오르는 대로 이야기를 엮어 가도록 하는 투사법 검사.

 

• 주지화(intellectualization), 지성화:

정서적으로 위협이 되는 상황을 추상적이고 지적인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초연하게 보이려는 시도. 방어기제의 하나이다.

 

• 지시적 치료(directive therapy):

비지시적 치료방법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상담자가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내담자와의 문제해결에 참여하는 방법. 지시적 상담이론의 대표적인 인물은 윌리엄슨(E. G. Williamson)으로, 그는 인간의 성격이나 행동특징이란 여러 차원의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심리검사 등의 방법을 통해서 측정․평가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지시적 상담이론의 입장에서 보면 상담은 내담자들에게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합리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활동이다.

 

• 지지치료(supportive therapy):

①내담자에게 충고나 용기를 주며 일련의 행동방향을 제시해 주고, 내담자가 한 일과 장차 하려고 하는 것에 대해 확신을 높여 주는 치료이다. ②이 치료법은 내담자가 고통스러워하는 시기에 특히 적절하며, 증세가 가볍거나 일시적인 장애를 치료하는 데고 효과적이다. ③통찰치료와 대비되는 치료.

 

• 직면(confrontation):

내담자가 스스로 인식하고 있지 못하거나 인정하기를 거부하는 내담자의 생각이나 감정에 주의를 집중시키는 상담기법.

 

• 직업상담(vocational counseling):

생애의 설계, 진로의 결정 및 직업선정의 문제를 주로 다룬다. 내담자의 적성․능력․흥미․포부․자질과 함께 취업에 필요한 지식․성공조건․보상․기회․전망 등을 고려한다.

 

• 진지성(genuineness):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상담자의 경험이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 상담자가 방어를 줄이고 개방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일치성과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

 

• 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ness):

종족 경험을 통해 모든 인간에게 공통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무의식의 일종.

 

• 집단상담(group counseling), 집단치료:

상담 또는 심리치료의 집단적 접근으로서, 집단 속의 내담자들은 상담자의 인도 아래 개인문제를 토의한다. 타인의 문제가 어떻게 해결되었는가를 들음으로써 정화 및 모방학습의 치료효과가 있다. 심리극은 집단치료의 특수한 형태이다.

 

• 집단역동(group dynamics):

①집단 내의 대인관계의 형태와 집단구조의 발달과 기능을 요구하는 분야. ②집단 내의 원인-결과 관계의 탐구 ③집단역동은 응집력․통솔력․의사결정․하위집단의 형성 및 이들간의 상호관계를 포함한다.

 

• 초자아(superego):

①부모 특히 아버지로부터 영향을 받은 도덕기준과 억제행동 등이 합쳐서 발달하는 성격의 일부로서 자아와 원초아의 활동을 자제하는 역할을 함. ②양심의 세계와 밀접히 관련되며, 어린 시절에 수립된 이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최면(hypnosis):

인위적으로 유도된 수면과 비슷한 상태로서 피암시성이 매우 높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 추동(drive):

①유기체(인간)의 각성된 목표지향적 경향성. 추동은 결핍이나 고통을 일으키는 유해한 상태에서 발생하며, 추동과 관련된 행동은 이러한 상태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②행동이나 활동적인 투쟁에 대한 추진력을 뜻하는 요어로서 보통 동기 및 요구와 동의어로 쓰인다.

 

• 충격요법(shock therapy):

경련 또는 혼수상태를 일으키는 충격적 자극에 의해 행동장애를 감소시키는 치료법. 인슐린․메트라졸(metrozol)․뇌의 전기충격 등이 활용된다.

 

• 충동(impulse):

①원초아나 본능적 힘에 의해 움직이는 힘

②행동에의 갑작스런 움직임.

 

• 쾌락원칙(pleasure principle):

원초아는 고통을 회피하고 쾌락을 찾으려는 원칙에 의해 지배된다는 가설. 쾌락원칙은 원욕(libido), 성본능 그리고 긴장을 감소시키려는 인간의 욕망에서 나오는 것으로 본다.

 

• 탈인격화(depersonalization):

인간이 자신의 정체감을 잃었다는 느낌. 정신분열증이나 심한 피로 및 우울증 상태에서 특히 나타나는 느낌이다.

 

• 통찰(insight):

①문제해결적 학습상황에서 관계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갑작스런 해결

②환자가 의식하지 못했거나 잘 모르던 동신의 문제를 통찰하게 함으로써 치료적 효과를 보는 것을 통찰치료(insight therapy)라 한다.

 

• 통찰치료(insight therapy):

환자 혹은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정신병리에 대하여 현실적이고 논리적이며 합리적인 인식과 사고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서적 장애나 부적응 행동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정신치료의 일종이다. 이는 인간의 정서적 장애나 정신질환은 무의식적 갈등이나 심리적 억압 또는 왜곡된 지각과 사고에서 비롯되는 것이라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 퇴행(regression):

①좌절에 직면했을 때 행동발달의 이전 형태 또는 더 원시적인 형태로 후퇴함.

②이전의 발달단계 수준으로 되돌아가는 것.

 

• 투사(projection):

자신의 속성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시킴으로써 자신의 바람직하지 않은 속성을 자각하지 않으려는 방어기제. 대체로 투사는 열등감을 은폐하려는 행동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완고한 심성을 지닌 사람이나 비현실적인 기준을 갖는 사람들에게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 투사법(projective technique):

애매한 자극제나 자료에 대한 지각적․상상적 반응을 통해 피검사자(내담자)의 욕구체계 및 성격기능을 탐색하는 검사.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검사에는 로르샤하 검사의 주제통각 검사가 있다.

 

• 티 그룹(T-group), 훈련집단:

실험적 집단 분위기에서의 상호작용적 관계를 통해 자기인식과 타인 행동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집단훈련이다. 훈련기간이 짧고 자발적인 참여가 없으면, 정서적 위기나 성격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도움이 적은 훈련방식이다.

 

• 편집증(paranoia):

고도로 체계화된 피해망상이나 과대망상을 가지나 성격적 퇴화는 적은 것이 특징인 정신병적 장애.

 

• 편집적 성격(paranoid personality):

지속적인 질투․의심․적대감․과민성 등이 특징인 성격. 사고과정의 퇴화나 망상은 없다.

 

• 학교상담자(school counselor):

학교에서 교육 관계자들이나 학생들에게 상담을 해 주는 전문가.

 

• 학습(learning):

연습 및 경험의 결과로 나타나는 비교적 영속적인 행동의 변화. 성숙이나 신체기관의 일시적인 조건(피로, 약물의 영향 등)에 의한 행동변화는 포함되지 않는다.

 

• 합리적-정서적 치료(rational-emotive therapy):

엘리스가 1960년대에 발전시킨 성격치료이론. 내담자의 비합리적 생활태도․사고방식․철학이 정서적 증상이나 문제 밑에 깔려 있으므로 이 비합리적 사고를 합리적인 것으로 바꾸어 주면 합리적인 행동이 따른다는 것이다. 인간은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으며 생각이 오히려 감정을 지배한다는 논리를 전제로한다. 지정요법이라고도 한다.

 

• 합리화(rationalization):

①실제의 이유대신에 그럴 듯하거나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이유를 댐으로써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방어기제.

②현상에 대한 이류를 설명하거나 해석하는 절차.

 

• 해리반응(dissociation reaction):

억압된 관계된 신경증적 반응으로 성격 및 기억의 부분들이 단절되어 각기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것. 예를 들어 건망증이나 다중성격이 있다.

 

• 해석(interpretation):

내담자가 자기의 문제를 새로운 각도에서 이해하도록 그의 생활경험과 행동의 의미를 설명해 주는 것이다. 내담자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의식하지 못했던 것을 지적․이해시키고 무의식적인 동기 등을 의식화시키는 데 치료적인 의도가 있다.(정신분석) 해석기법의 종류로는

①명료화 해석

②비교해석

③원망-방어의 해석 등이 있다.

 

• 행동발산(acting out):

심리치료나 정신분석과정에서 내담자가 의식수준에 접근된 ‘과거에 억압했던 충동’을 자기도 모르게 행동으로 나타내는 것. 흔히 아동기 행동양식의 상징으로 나타나며 상담자에 대한 전이감정도 그 한 예이다.

 

• 행동수정(behavior modification), 행동치료:

고전적․조작적 조건형성 등의 학습원리를 이용하여 행동상의 문제를 변화시키려고 하는 심리치료의 한 가지 형태. 단계적 둔화․환권보상 치료․자기표현훈련 등이 그 주요 방법이다.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정적강화의 제시, 토큰경제(token economy), 촉구, 형성, 부적강화의 제거 등이 있으며, 행동 감소를 위한 방법에는 소멸, 정적강화의 철회, 타임아웃(time out), 과잉교정, 부적강화의 표시, 둔감화 등이 있다.

 

• 행동장애(behavior disorder):

①신경증적 반응․정신병적 반응․성격장애․만성적 뇌증후로 나타나는 행동 등을 포함하는 용어로서 정신장애나 정신 불건강과 비슷한 개념 ②행동이 기능적인 면에서 비정상일 때 쓰이는 개념.

 

• 행동조성(behavior shaping):

목표행동에 접근하는 행동을 점진적으로 보강(강화)함으로써 행동을 습득시키는 과정.

 

• 행동주의(behaviorism):

심리학을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하고 연구자료를 관찰할 수 있는 대상에 한정시킨 학파. 의식 및 정신구조에 대한 언급을 배격한 왓슨(J. B. Watson)이 처음 주장하여 1930년대까지 심리학의 주요 학파로 군림했다. 오늘날에는 조건형성의 원리를 주 연구영역으로 삼고 있는 ‘행동주의적’ 심리학자들이 있을 뿐이며, 스키너(Skinner, 서술적 행동주의)가 왓슨의 전통을 가장 많이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 현상학(phenomenology):

자세한 설명이나 요소주의적 분석이 없이 인간경험이나 행동현상을 연구하는 것.

①현상이나 사건을 경험되는 즉시 해석이 없이 연구하는 것.

②선험적(transcendental) 주관이 즉각적인 경험이라는 철학적 이론.

 

• 현실검증(reality testing):

외부세계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판단을 포함하는 자아의 기본적 기능.

 

• 현실원칙(reality principle):

①개인의 적응과정에서 성취가능한 목표를 세우고 갈등제거 및 욕구충족을 위한 실용적 방법을 발견한다는 행동원리

②주위환경의 요구에 대한 자각과 사회적 요구에의 순응 필요성을 자각하는 자아의 기능이다.

 

• 혐오치료(aversive therapy):

제거되어야 할 행동을 혐오스러운 자극상태와 연합시킴으로써 이 혐오자극에 대한 회피와 함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도 없어지게 하는 행동수정적 방법.

 

• 환각(hallucination):

①잘못된 지각으로서 관념적인 현상을 실제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

②감각기관에 대한 자극이 없이 감각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정신분열증 같은 행동장애에서 나타남.

 

• 환상(fantasy):

대상 및 사건에 대한 집합적 심상으로 백일몽 또는 방심상태의 상상이 그 예이다. 흔히 좌절 때문에 생기지만 적당한 정도의 것은 창조적․적응적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종교.신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머니의 기도  (0) 2022.06.04
기도생활  (0) 2021.04.23
대표기도 12가지 원칙  (0) 2021.04.23
성막의 기구 7가지와 그 의미  (0) 2021.04.23
기도의 능력을 얻으려면  (0) 2021.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