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물을 분류하는 방법
건축법 시행령 별표1에서는 건축물을 용도에 딸 29가지로 구분하고 있음.
이 중에서 주택은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으로 구분.
1)단독주택
단독주택의 형태를 갖춘 가정어린이집, 공동생활가정, 지역아동센터 및 노인복지시설을 포함.
-단독주택/다중주택/다가구주택
1.단독주택
2.다중주택
ㄱ.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
ㄴ.독립된 주거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각 실별로 욕실 설치 O 취사시설X)
ㄷ.1개 동 주택으로 쓰는 바닥면적 합계가 330㎡ 이하,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제외)가 3개 층 이하
3.다가구주택
다음 요건을 갖추고 주택으로서 공동주택에 해당하지 않는 것
ㄱ.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3개 층(지하제외) 이하일 것(다만 1층 전부 또는 일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 나머지 부분을 주택 외 용도로 쓰는 경우 해당 층은 주택 층수에서 제외)
ㄴ.1개 동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부설 주차장 면적 제외, 이하 같다)의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일 것
ㄷ.19세대(대지 내 동별 세대수를 합한 세대를 말함) 이하 거주할 수 있을 것
4.공관
2) 공동주택
공동주택 형태를 갖춘 가정어린이집, 공동생활가정, 지역아동센터, 노인복지시설(노인복지주택 제외) 및 주택법 시행령에 따른 원룸형 주택을 포함.
다만 아파트나 연립주택에서 층수를 산정할 때 1층 전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로티 부분을 층수에서 제외하고, 다세대주택에서 층수를 산정할 때 1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필로티 구조로 하여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을 주택 외의 용도로 쓰는 경우에는 해당 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하며,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의 층수를 산정할 때 지하층을 주택의 층수에서 제외한다.
1.아파트: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
2.연립주택: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제곱미터를 초과하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2개 이상의 동을 지하주차장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으로 본다.
3.다세대주택: 주택으로 쓰는 1개 동의 바닥면적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이고 층수가 4개 층 이하인 주택(2개 이상의 동을 지하주차장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동으로 본다)
4.기숙사: 학교 또는 공장 등의 학생 또는 종업원 등을 위하여 쓰는 것으로서 1개 동의 공동취사시설 이용 세대 수가 전체의 50퍼센트 이상인 것(교육기본법에 따른 학생 복지주택 포함)
(2) 건축양식에 의한 분류
한식, 양식, 절충식 건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3)건축구조에 의한 분류
가구식 구조, 조적식 구조, 일체식 구조, 조립식 구조, 절충식 구조의 건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잠깐!~~마음에 드셨다면, 추천 꾸~욱!~~, 댓글도 달아 주시면 힘이 됩니다!!!
'코칭스킬 > 경.공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MT리포트] `건물주의 딜레마` …"공실나도 임대료 못내려" (0) | 2018.08.09 |
---|---|
[스크랩] 용도변경 (0) | 2018.08.09 |
[스크랩] 토지거래 전 필수 확인사항 (0) | 2018.08.09 |
[스크랩] 개발제한구역에서 할수있는행위입니다. (0) | 2018.08.09 |
[스크랩] 개인등기? 지분등기? 등기구분 못하면 땅테크 100전 100패 (0) | 2018.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