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신앙2/인생관·철학

[스크랩] 직장에 버티는 이유 / 직장을 떠나야 하는 이유

대한유성 2009. 5. 27. 16:19

직장에 버티는 이유/직장을 떠나야 하는 이유
 

경제는 살아나도 일자리는 늘어나지 않는다는 ‘고용 없는 성장’의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경제가 1% 성장할 때 창출되는 새로운 일자리 수는 최근 들어 매년 하락하고 있다.

한국의 40∼50대 직장인들에게 올해는 ‘갑신정변’에 버금가는 변화의 해가 될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 팽배해 있다. 어차피 과거와 같은 장기 고용을 기대할 수 없다면 가장 유리한 시기에 퇴직해 ‘제2 경력’을 시작하는 것이 현명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막상 떠나는 것도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미국 사우스웨스트 항공사 인사담당으로 오래 근무하다 최근 야후의 인사담당부사장으로 옮긴 리비 사르텐은 사람이 직장에 남을 때와 옮길 때 의사결정에 참고해야 할 다섯 가지 이유를 각각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먼저, 직장에 남아야 하는 다섯 가지 이유를 들어보자. 

첫째, 조직을 변화시킬 수 있는 혁신적이고 전략적인 프로젝트가 수행되고 있을 때:

이 때는 이 프로젝트가 완성될 때까지 일단 남아 있다가 그 결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둘째, 개인적인 사유가 있을 때:

가령,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자녀가 있다든지,아니면 부모가 와병 중에 있어 직장을 옮기는 것이 가족에게 타격을 가하는 일이 될 때는 일단 현 직장에 계속 남아 있는 것이 나을 수 있다. 

셋째, 승진라인에 있거나 좋은 경력기회가 기대될 때:

승진 가능성이 높고 바라던 경력기회를 얻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도 일단 눌러 앉아 있어 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넷째, 새로운 기술이나 전문지식을 획득하고 있을 때:

준 높은 향상 교육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을 때 이러한 기술과 경험습득이 자신의 이력과 다음 행보에 도움이 되므로 이수할 때까지 근무하는 것이 유익하다. 

다섯째, 후계자를 양성하고 있을 때:

자신이 지금까지 조직 내에서 쌓아올린 공든 탑이 하루아침에 무너지는 것을 보기를 원치 않는다면, 그 후계자가 당신의 수준에 이를 때까지 남아 있으면서 기술과 지식을 전수한다. 


다음으로, 직장을 떠나야 하는 다섯 가지 이유를 살펴본다. 

첫째, 직장에 더 이상 ‘재미’를 느끼지 못할 때:

재미(Fun)라는 것은 단순히 흥미차원을 넘어 삶의 에너지라고 볼 수 있다. 직장생활을 통해 삶의 에너지를 더 이상 공급 받을 수 없다면 이직을 해서 정말 자신이 재미를 붙여서 일할 수 있는 곳을 알아보는 것이 남은 삶을 위해 현명한 일이다. 

둘째, 노력했지만 나아지는 것이 없을 때:

자신이 책임을 맡아 회사의 업무와 환경을 호전 시키려고 최선의 노력을 했지만 근본적으로 나아질 가능성이 보이지 않을 때에는 두 가지 선택밖에 없다. 시지프스 왕처럼 소용없는 돌 굴리기를 계속 하든가, 아니면 새로운 환경과 가능성을 찾아 나서든가. 

셋째, 회사가 학습과 성장을 멈췄을 때:

경쟁사가 우리 회사를 앞지르고 시장에서 모든 성과지표가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으면 조직의 역기능과 악순환이 시작될 공산이 크다.

만약 조직 구성원들을 설득하는데 힘이 든다면 차라리 당신의 아이디어가 환영 받는 곳으로 가는 것이 더 나을 수가 있다. 기울어져 가는 타이태닉호를 혼자서 바로 잡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넷째, 더 이상 갈 데가 없을 때:

당신의 후배가 이미 당신의 능력수준에 와있거나 오히려 추월하고 있으며 조직 내에서 더 이상 갈 만한 적당한 보직이 보이지 않을 때는 아름답게 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은색 탄환(Silver Bullets)’이 다 소모됐을 때:

당신은 한 때 조직의 변화에 앞장섰던 주인공이고 당신의 화려한 아이디어가 조직 곳곳에서 은빛을 발하며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 사람들은 당신의 아이디어와 능력에 열광하지도 않을 뿐더러 당신의 말에 귀 기울여 들으려는 사람도 없다. 공연히 구식 총을 휘두르며 조직의 분위기와 균형을 깨는 ‘고독한 장고’가 되기보다는 조용히 떠나는 것이 낫지 않을까?
 

글:김성국 이화여대 경영학부 교수
출처: 매경이코노미 2004-02-06 

출처 : 愚公移山
글쓴이 : 미생지신 원글보기
메모 :